본문 바로가기

조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관계별 금액 가이드와 다이소 봉투 추천까지 한 번에

하나하이 2025. 4. 13.

나이가 들어갈 수록 결혼이나 출산 소식같이 축하할 소식 보다는 누군가 돌아가셨다는 이야기를 전달받게 되는 경우가 많지 않나요?

저도 그런데요.

단 아직까지는 횟수가 아주 많진 않아서..

가끔 그런 소식을 들으면 얼마를, 어떻게 내야하지?? 라는 고민을 하게 된답니다.

 

장례식 조의금에 대해 잘 정리해둔 유튜브 영상이 있어 올려보는데요.

혹시 영상으로 확인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조의금 액수

 

엄청 친한 사람이라면 또 예외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어떻게 하시나요?

전 보통 같이 가는 사람들에게 물어보기도 하곤 했었는데요.

물어보기 애매할 때가 종종 있죠. 그럴 땐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위 버튼을 누르시면 2024년 12월 한겨례 기사가 나오는데요.
여기서는 5만원이 적당하고, 7만원은 과하다고 얘기하고 있어요.

그래서 이번 기회에 어떤기준으로 조의금을 내야하는지 정리해봤답니다.

고인과 유가족의 친분에 따라 달라지는 액수

어두운-배경-꽃-사진
사진: Unsplash 의 Ren Ran

친분에 따라 달라지는 조의금 액수
가볍게 알고 지내는 사이 3만원
친한사이 5만원
친인척 혹은 잘 아는 사이 10만원
절친한 친구, 가까운 친인척 10만원 이상

보통은 고인과 유과족이 얼마나 친분이 있느냐로 액수를 정하는거 같아요.

가볍게 알고 지내는 사이였을 때 3만원 부터 시작해 절친한 친구, 가까운 친인척은 10만원 이상까지..

 

보통 3,5,7,10만원으로 내는데 10만원 이하일 땐 홀수 금액으로 내는게 일반적이라고 해요.

10만원 이상은 10,20,30 만원으로 내고요.

 

3만원은 조금 애매한데? 싶은 생각이 들긴 했는데요.

보통 회사 직원 가족 분들이 돌아가셨을 때 단체로 많이 걷어서 내는 경우, 3만원을 많이 한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보다 조금 더 친분이 있을 경우는 5만원.

7만원은 뭔가 조금 더 표시하고 싶긴 한데 10만원은 조금 부담될 경우.. 고민하시다가 내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그래도 중요한 건, 지금 내 상황에 맞게 내는 게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이 금액은 피하자! 9만원, 40만원

앞서 조의금을 낼 때는 10만원 이하는 홀수 금액으로 낸다고 이야기 했는데요.

여기서도 피할 금액이 있다는거, 아셨나요?

 

바로 9만원과 40만원이랍니다.

9만원은 아홉수.. 라는 의미가 들어있어 홀수금액으로 낼 때는 9만원은 피해서, 3,5,7만원 중 내시면 될 거 같아요.

9만원을 낼바엔 10만원을 내는게 일반적이라고 하니 이 점도 참고해주시고요.

 

또 40만원은 숫자 4가 들어가 있어.. 피한다고 합니다.

 

조의금 이름 작성 및 전달

이제 봉투에 소속과 이름을 적고 전달하는 과정이 남았죠.

전 소속과 이름을 적는 게, 매번 좀 헷갈리더라고요.ㅠ

그래서 조의금 소속 및 이름 작성 법 뿐 아니라 전달하는 방법까지도 이번기회에 싹 정리해봤습니다.

 

이름은 어디에? 봉투 뒷면 왼쪽 아래, 세로방향으로

조의금-봉투-뒷면-소속-직함-이름
조의금-봉투-뒷면-아무개-외-2인

 

장례식장에 가면 일반적으로 봉투가 있죠.

그럼 봉투 어디에 이름을 적어야 하는지, 전 항상 헷갈리더라고요.

정답은요? 소속과 이름은 봉투 뒷면 왼쪽 아래에, 세로방향으로 적으면 된다고 합니다!

 

부의금 전달

장례식장에는 가급적 문상을 가서 부의금을 직접 내는 것이 예의이긴 하지만 사실 직접 가지 못할 경우들도 생기게 마련이죠.

이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1. 계좌번호로 보내기

요즘은 부고문자를 받으면 계좌번호가 적혀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렇다면 부조금을 받는 분의 계좌번호가 정확한지 확인하시고 받는 분 표기에 본인의 이름이나 회사명을 적어주시면 돼요.

보통 "OOO(이름) 부의"로 보내면 됩니다.

 

이땐 문자로 짧지만 진심어린, "고인의 명복을 빌며 장례식장에 직접 참석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라는 위로의 문자도 함께 보내면 좋을 거 같아요.

 

2. 직접 봉투에 챙기기

다이소-조사-봉투

 

혹시 장례식장에 직접 가지 못할경우, 봉투에 조의금을 넣어 전달을 부탁드리기도 하죠.

전 집에 마땅한 봉투가 없어 다이소를 이용했는데요.

다이소에서 파는 12매입(조사) 봉투를 구매했어요.

가격은 1000원입니다.

 

2중봉투로 되어 있고 안의 내용물이 비치지 않아 좋은 거 같아요.

혹시라도 필요하신 분들은 근처 다이소에 가셔서 구매하시길 추천드려요.

 


지금까지 부의금 금액을 얼마를 내는게 좋을지에 대한 기준과, 장례식장에 가지 못했을 때 전달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각자 사정과 형편에 맞게 하는게 가장 좋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